좋은음식

음식 궁합 안 맞는 것과 잘 맞는 것

romanticgirl 2022. 1. 26. 21:37
728x90
몸을 살리는 음식 궁합

 

소고기와 깻잎

소고기는 단백질이 풍부하지만 포화지방산의 함량도 높아 과식하면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때 깻잎을 함께 먹으면 깻잎의 섬유소가 포화지방산의 흡수를 줄이고 몸속의 유해 물질을 제거해 줍니다.

 

돼지고기와 표고버섯

돼지고기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몸속의 유해한 중금속을 배출해 주지만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것이 단점입니다.  표고버섯에는 섬유질의 풍부해서 콜레스테롤이 체내에 쌓이는 것을 막아줍니다.

 

돼지고기와 새우젓

새우젓이 발효하면서 생성되는 효소는 단백질과 지방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돼지고기와 새우젓을 함께 먹으면 이 효소가 단백질과 지방을 분해해 소화를 돕고 돼지고기 특유의 누린내를 없애서 담백하게 먹을 수 있습니다.

 

토란과 다시마

토란의 아린 맛을 내는 주성분인 수산석회가 몸에 쌓이면 담석증을 유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다시마의 끈적한 성분 속에 들어 있는 알긴산은 체내의 수산석회를 흡착해 몸 밖으로 배출해 줍니다.

 

간과 우유

간은 철분 함량이 높은 빈혈 치료 음식이지만 대표적인 산성 식품입니다.  알칼리성 식품인 우유를 곁들이면 영양의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  손질할 때 우유에 담가 두었다가 조리하면 간 특유의 잡냄새도 없앨 수 있습니다.

 

선지와 우거지

선지는 철분 함량이 높은 고단백 식품이지만 많이 먹으면 변비에 걸릴 수 있습니다.  우거지는 식이섬유가 풍부해 선지와 함께 먹으면 변비를 예방할 수 있으며, 우거지의 엽록소는 조혈 작용을 촉진합니다.

 

무와 메밀

메밀에는 소화를 방해하고 설사를 유발하는 사리실라민과 벤질아민이 있습니다.  무의 비타민 C와 소화 효소가 이러한 독성을 해독하고 소화가 잘되게 도와줍니다.  메밀국수에 무즙을 곁들이는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된장과 부추

된장은 단백질이 풍부하지만 나트륨 함량이 높고 비타민 A와 C는 거의 없습니다.  부추는 나트륨을 배출하는 칼륨이 풍부하고 된장에 부족한 비타민 함량이 높아 함께 조리하면 영양상의 단점을 보완해 줍니다.

 

아욱과 새우

새우는 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은 풍부하지만 비타민은 부족합니다.  아욱은 비타민 A와 C가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산성 식품인 새우와 함께 먹으면 영양상 균형을 이룰 뿐 아니라 소화를 돕습니다.

 

복어와 미나리

복어에는 테트로도톡신이라는 강한 독성분이 있습니다.  요리할 때 독이 있는 부분을 제거하지만 해독 작용을 하는 미나리와 함께 먹으면 더욱 안전합니다.  미나리는 비타민이 풍부하므로 복어의 부족한 영양소도 보충해 줍니다.

 

생선회와 생강

생강은 살균 작용이 뛰어나 식중독균이나 부패균을 없애 줍니다.  또 위장의 연동 운동을 촉진해 소화 흡수를 도와줍니다.  평소 생선회를 많이 먹으면 속이 더부룩하고 설사가 잦은 사람은 얇게 저민 생강을 곁들이면 좋습니다.

 

조개와 쑥갓

조개는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지만 비타민은 부족한 편입니다.  조개를 이용해 국이나 찌개를 끓일 때 쑥갓을 함께 넣으면 잡냄새를 제거하고 비타민을 보충하며 특유의 신선한 향미를 더해 식욕을 돋워줍니다.

 

고등어와 무

고등어는 단백질이 풍부하지만 비타민은 부족합니다.  그래서 조리할 때 무를 곁들이면 비타민 C를 보충할 수 있습니다.  무의 이소시아네이트라는 매운맛 성분은 고등어 비린내를 없애는 효과가 있어 담백한 맛을 살릴 수 있습니다.

 

 

몸을 해치는 음식 궁합

 

 

당근와 오이가 체스판 위에 있다.
당근과 오이

당근과 오이

당근과 오이를 썰면 다른 채소의 비타민 C를 파괴하는 아스코르비나아제라는 효소가 나오는데, 이 둘을 함께 조리하면 비타민 C 파괴를 더욱 부추깁니다.  이 효소는 산에 약하므로 레몬즙이나 식초를 넣어 조리하면 좋습니다.

 

토마토와 설탕

설탕이 체내에서 소화되려면 다량의 무기질과 비타민 B1이 필요합니다.  토마토와 설탕을 함께 먹으면 토마토의 영양분은 설탕을 소화하는 데 모두 소모되게 됩니다.  토마토의 영양을 고스란히 섭취하려면 그냥 먹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꿀과 홍차

홍차의 떫은맛을 내는 타닌 성분은 콜레스테롤을 낮추며 항균 작용을 하지만 꿀 속의 철분과 결합하면 타닌철산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 성분은 체내에서 흡수되지 못하고 배설되어 영양 손실이 크며 홍차 맛도 떨어지게 됩니다.

 

소고기와 부추

소고기와 부추는 모두 뜨거운 성질의 식재료로 열이 많은 사람이 먹으면 두통과 소화불량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 위장이 약한 사람은 위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소고기를 조리할 때는 다른 채소를 곁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바지락과 우엉

우엉은 섬유질이 풍부하지만 바지락에 풍부한 철분의 흡수를 방해해 함께 먹으면 영양 손실이 큽니다.  철분은 칼슘과 함께 섭취하면 흡수율이 높아지므로 바지락은 우유나 유제품과 함께 먹으면 좋습니다.

 

시금치와 두부

시금치와 두부를 함께 먹으면 시금치의 수산 성분이 두부의 칼슘과 결합하여 수산칼슘을 만듭니다.  이 성분은 칼슘의 흡수를 막고 결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시금치를 데쳐서 사용하면 수산이 80%가량 제거됩니다.

 

문어와 고사리

문어는 고단백 식품이지만 소화가 잘 안 되는 것이 단점입니다.  고사리는 소화에 부담을 주기도 하는 식이섬유 함량이 높으므로 문어와 함께 먹으면 소화가 더욱 안 됩니다.  위장 기능이 약한 사람은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미역국과 파

파의 독특한 향과 맛을 내는 강력한 향기 물질인 황과 인은 미역에 풍부한 칼슘의 흡수를 방해합니다.  뿐만 아니라 미역 특유의 향취를 떨어뜨리기도 하므로 미역국이나 무침 등에 파를 넣는 것은 삼가야 합니다.

 

팥죽과 설탕

팥에 풍부한 사포닌은 면역력을 강화하고 암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는데, 설탕은 팥의 사포닌 성분을 파괴합니다.  따라서 팥죽은 소금으로 간해서 먹는 것이 좋고 팥은 철과 반응하므로 쇠 냄비는 피해서 조리해야 합니다.

 

우유와 설탕

우유에는 신진대사를 활성화하는 비타민 B1이 풍부합니다.  하지만 설탕을 함께 먹으면 설탕을 소화하기 위해 다량의 비타민 B1이 소모됩니다.  따라서 실제 몸에 흡수되는 비타민 B1이 줄어들게 되므로 함께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치즈와 콩

치즈와 콩은 고단백 영양 식품입니다.  특히 치즈에는 칼슘이 풍부합니다.  하지만 치즈와 콩을 같이 먹으면 콩의 인산 성분이 치즈의 칼슘 흡수를 방해해 몸 밖으로 배출하므로 뼈가 약하거나 칼슘 섭취량이 부족한 사람은 주의해야 합니다.

 

맥주와 땅콩

맥주와 땅콩은 모두 차가운 성질의 음식으로 따로 먹어도 장이 약한 사람은 설사를 할 수 있습니다.  함께 먹으면 장 기능을 더욱 떨어뜨리고 숙취를 더 할 수 있으며 특히 땅콩은 지방 함량이 높아 소화하기도 어렵습니다.

 

햄버거와 콜라

햄버거와 콜라는 같이 먹으면 최악의 인스턴트식품이 됩니다.  햄버거는 칼로리가 높은 데 비해 영양분이 낮은데, 콜라의 탄산은 조금이나마 함유된 햄버거의 칼슘이나 무기질을 몸 밖으로 배출해 뼈를 약하게 만듭니다.

 

728x90